2023년 2월 기준 대한민국 국무총리
대한민국은 현재 제48대 한덕수 국무총리가 총리직을 역임하고 있습니다. 2022년 5월 21일부터 윤석열 정부의 첫 정식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있는데요. 김종필, 고건 전 총리들에 이어 세번째로 역대 다른 정권에서 총리직을 역임했던 인물입니다. 한덕수 국무총리는 참여정부시절 제38대 국무총리를 지낸 바 있습니다.
대한민국 역대 국무총리
대한민국 역대 국무총리, 서리, 직무대행 등의 이름, 임기, 정부, 특이사항 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
대 | 이름 | 임기 | 정부 | 비고 |
1 | 이범석 | 1948년 08월 02일 - 1950년 04월 20일 (1년 263일) |
제1공화국 | 국방부 장관 겸임. 1950년 4월 이윤영 후보자 인준 부결 |
서리 | 신성모 | 1950년 04월 21일 - 1950년 11월 22일 (215일) |
국방부 장관 겸임. 최장기간 총리 서리 동년 11월 백낙준 후보자 인준 부결 |
|
2 | 장면 | 1950년 11월 23일 - 1952년 04월 23일 (1년 152일) |
||
서리 | 허정 | 1951년 11월 06일 - 1952년 04월 09일 (155일) |
사회부 장관 겸임 장면 총리 미국 체류 따른 재임 |
|
서리 | 이윤영 | 1952년 04월 24일 - 1952년 05월 05일 (11일) |
총리 인준 4회 부결 | |
3 | 장택상 | 1952년 05월 06일 - 1952년 10월 05일 (152일) |
동년 10월 이윤영 후보자 인준 부결 | |
서리 | 백두진 | 1952년 10월 09일 - 1953년 04월 23일 (196일) |
재무부 장관 겸임 동년 11월 이갑성 후보자 인준 부결 |
|
4 | 1953년 04월 24일 - 1954년 06월 17일 (1년 54일) |
|||
5 | 변영태 | 1954년 06월 27일 - 1954년 11월 28일 (154일) |
외무부 장관 겸임 제네바 정치협상회의 참석 |
|
임시 서리 |
백한성 | 1954년 11월 18일 - 1954년 11월 29일 (11일) |
변영태 총리 해외 체류 따른 재임 | |
수석국무위원 | 변영태 | 1954년 11월 30일 - 1955년 07월 28일 | 사사오입 개헌으로 국무총리직이 잠정 폐지되면서 신설된 직책. 외무부 장관 겸임 |
|
수석국무위원 대리 |
김형근 | 1955년 07월 29일 - 1956년 05월 19일 | 내무부 장관 겸임 | |
수석국무위원 | 김현철 | 1956년 05월 19일 - 1956년 05월 26일 | 재무부 장관 겸임 | |
이익흥 | 1956년 05월 27일 - 1956년 12월 31일 | 내무부 장관 겸임 | ||
조정환 | 1956년 12월 31일 - 1959년 12월 21일 | 외무부 장관 겸임 | ||
수석국무위원 대리 |
최인규 | 1959년 12월 22일 - 1960년 03월 23일 | 내무부 장관 겸임 | |
수석국무위원 | 홍진기 | 1960년 03월 24일 - 1960년 04월 24일 | ||
허정 | 1960년 04월 25일 - 1960년 06월 14일 (51일) |
4.19 혁명 후 내각수반 | ||
허정 과도내각 | 대통령 권한대행 외무부장관 겸임 |
|||
6 | 1960년 06월 15일 - 1960년 08월 18일 (64일) |
제2공화국 | ||
의원내각제 행정수반 역대 국무총리 최단 재임 기간 동년 8월 17일 김도연 지명자 인준 부결 |
||||
7 | 장면 | 1960년 08월 19일 - 1961년 05월 18일 (272일) |
의원내각제 행정수반 5.16 쿠데타로 사퇴 |
|
내각 수반 |
장도영 | 1961년 05월 20일 - 1961년 07월 02일 (43일) |
국가재건최고회의 |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·국방부 장관 겸임 |
송요찬 | 1961년 07월 03일 - 1962년 06월 15일 (347일) |
외무부 장관·경제기획원장 겸임 | ||
박정희 | 1962년 06월 18일 - 1962년 07월 09일 (21일) |
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겸임 | ||
김현철 | 1962년 07월 10일 - 1963년 12월 16일 (1년 159일) |
직전 경제기획원장 | ||
8 | 최두선 | 1963년 12월 17일 - 1964년 05월 09일 (144일) |
제3공화국 | |
9 | 정일권 | 1964년 05월 10일 - 1970년 12월 20일 (6년 225일) |
역대 최장 재임 국무총리 외무부 장관 겸임 |
|
10 | 백두진 | 1970년 12월 21일 - 1971년 06월 03일 (164일) |
총리가 된 인물 중 역대 최장기간 총리 서리 |
|
11 | 김종필 | 1971년 06월 04일 - 1975년 12월 18일 (4년 198일) |
역대 두 번째 장기 재임 총리 (6년 147일) | |
제4공화국 | ||||
서리 | 최규하 | 1975년 12월 19일 - 1976년 03월 12일 (84일) |
10.26 사건 후 대통령 권한대행. 유일한 총리 출신 대통령. 역대 세 번째 장기재임 총리. |
|
12 | 1976년 03월 13일 - 1979년 12월 5일[34] (3년 268일) |
|||
13 | 신현확 | 1979년 12월 13일 - 1980년 05월 21일 (160일) |
직전 제13대 경제부총리 역임 5.17 내란으로 사임 |
|
서리 | 박충훈 | 1980년 05월 22일 - 1980년 09월 01일 (102일) |
국무총리 서리로서 대통령 권한대행 수행 |
|
서리 | 남덕우 | 1980년 09월 02일 - 1980년 09월 21일 (19일) |
제12대 경제기획원 장관 겸 부총리 역임 | |
14 | 1980년 09월 22일 - 1982년 01월 03일 (1년 103일) |
|||
제5공화국 | ||||
서리 | 유창순 | 1982년 01월 04일 - 1982년 01월 22일 (18일) |
||
15 | 1982년 01월 23일 - 1982년 06월 24일 (152일) |
|||
서리 | 김상협 | 1982년 06월 25일 - 1982년 09월 20일 (87일) |
고려대 총장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로 경질 |
|
16 | 1982년 09월 21일 - 1983년 10월 14일 (1년 23일) |
|||
서리 | 진의종 | 1983년 10월 15일 - 1983년 10월 16일 (1일) |
직전 민주정의당 대표. 임기중 뇌출혈로 와병 |
|
17 | 1983년 10월 17일 - 1985년 02월 18일 (1년 125일) |
|||
직무 대행 |
신병현 | 1984년 11월 07일 - 1985년 02월 18일 (103일) |
제16대 경제기획원 장관 겸 부총리 | |
서리 | 노신영 | 1985년 02월 19일 - 1985년 05월 15일 (85일) |
직전 국가안전기획부장 역임 제6공화국 이전 4번째 장기재임 |
|
18 | 1985년 05월 16일 - 1987년 05월 25일 (2년 9일) |
|||
서리 | 이한기 | 1987년 05월 26일 - 1987년 07월 13일 (48일) |
6.29 선언으로 경질 | |
서리 | 김정렬 | 1987년 07월 14일 - 1987년 08월 06일 (23일) |
||
19 | 1987년 08월 07일 - 1988년 02월 24일 (201일) |
|||
서리 | 이현재 | 1988년 02월 25일 - 1988년 03월 01일 (5일) |
노태우 정부 | |
20 | 1988년 03월 02일 - 1988년 12월 04일 (277일) |
|||
서리 | 강영훈 | 1988년 12월 05일 - 1988년 12월 15일 (10일) |
||
21 | 1988년 12월 16일 - 1990년 12월 26일 (2년 10일) |
|||
서리 | 노재봉 | 1990년 12월 27일 - 1991년 01월 22일 (26일) |
전년도 대통령 비서실장 역임 | |
22 | 1991년 01월 23일 - 1991년 05월 23일 (120일) |
|||
서리 | 정원식 | 1991년 05월 24일 - 1991년 07월 07일 (44일) |
전년도 교육부장관 역임 정원식 계란 투척 사건 |
|
23 | 1991년 07월 08일 - 1992년 10월 07일 (1년 92일) |
|||
24 | 현승종 | 1992년 10월 08일 - 1993년 02월 24일 (139)일 |
||
25 | 황인성 | 1993년 02월 25일 - 1993년 12월 16일 (294일) |
문민정부 | 제14대 국회의원 겸임 (전북 진안군·무주군·장수군) |
26 | 이회창 | 1993년 12월 17일 - 1994년 04월 21일 (125일) |
||
27 | 이영덕 | 1994년 04월 30일 - 1994년 12월 16일 (230일) |
직전 제4대 통일원 장관 겸 부총리 역임 | |
28 | 이홍구 | 1994년 12월 17일 - 1995년 12월 17일 (1년) |
직전 제5대 통일원 장관 겸 부총리 역임 | |
29 | 이수성 | 1995년 12월 18일 - 1997년 03월 04일 (1년 77일) |
직전 서울대학교 총장 | |
30 | 고건 | 1997년 03월 05일 - 1998년 03월 03일 (363일) |
||
서리 | 김종필 | 1998년 03월 03일 - 1998년 08월 17일 (167일) |
국민의 정부 | 전년도 자유민주연합 총재 (DJP연합[37]) 역대 2번째 장기 재임 총리 |
31 | 1998년 08월 18일 - 2000년 01월 12일 (1년 147일) |
|||
32 | 박태준 | 2000년 01월 13일 - 2000년 05월 18일 (126일) |
자유민주연합 총재 겸임 제15대 국회의원 겸임 (경상북도 포항시 북구) |
|
직무 대행 |
이헌재 | 2000년 05월 18일 - 2000년 05월 23일 (5일) |
제8대 재정경제부 장관 | |
서리 | 이한동 | 2000년 05월 23일 - 2000년 06월 28일 (36일) |
자유민주연합 총재 겸임 | |
33 | 2000년 06월 29일 - 2002년 07월 10일 (2년 11일) |
|||
서리 | 장상 | 2002년 07월 11일 - 2002년 07월 31일 (20일) |
2000년 6월 인사청문회법 도입 후 첫 낙마(국회 인준 부결) 유일한 여성 총리 서리 |
|
서리 | 장대환 | 2002년 08월 09일 - 2002년 08월 28일 (19일) |
인사청문회법 도입 후 두 번째 낙마(국회 인준 부결) |
|
서리 | 김석수 | 2002년 09월 10일 - 2002년 10월 04일 (24일) |
||
34 | 2002년 10월 05일 - 2003년 02월 26일 (144일) |
|||
35 | 고건 | 2003년 02월 27일 - 2004년 05월 24일 (1년 87일) |
참여정부 |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따른 고건 권한대행 체제 |
직무 대행 |
이헌재 | 2004년 05월 24일 - 2004년 06월 29일 (36일) |
제12대 경제부총리 | |
36 | 이해찬 | 2004년 06월 30일 - 2006년 03월 15일 (1년 258일) |
||
직무 대행 |
한덕수 | 2006년 03월 16일 - 2006년 04월 19일 (34일) |
제13대 경제부총리 | |
37 | 한명숙 | 2006년 04월 20일 - 2007년 03월 07일 (321일) |
헌정 사상 최초, 그리고 유일한 여성 총리 | |
직무 대행 |
권오규 | 2007년 03월 08일 - 2007년 04월 02일 (26일) |
제14대 경제부총리 | |
38 | 한덕수 | 2007년 04월 03일 - 2008년 02월 29일 (334일) |
전년도 경제부총리 역임. 직무대행 경험한 첫 총리 |
|
39 | 한승수 | 2008년 02월 29일 - 2009년 09월 28일 (1년 212일) |
이명박 정부 | |
40 | 정운찬 | 2009년 09월 29일 - 2010년 08월 10일 (315일) |
||
직무 대행 |
윤증현 | 2010년 08월 11일[41] - 2010년 09월 30일 (50일) |
제2대 기획재정부 장관 | |
41 | 김황식 | 2010년 10월 01일 - 2013년 02월 25일 (2년 148일) |
제6공화국 두 번째 장기 재임 총리 | |
42 | 정홍원 | 2013년 02월 26일 - 2015년 02월 16일 (1년 356일) |
박근혜 정부 | 안대희, 문창극 후보자 낙마 |
43 | 이완구 | 2015년 02월 17일 - 2015년 04월 27일 (70일) |
실질적으로 최단 재임 총리 | |
직무 대행 |
최경환 | 2015년 04월 27일 - 2015년 06월 17일 (53일) |
제2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| |
44 | 황교안 | 2015년 06월 18일 - 2017년 05월 11일 (1년 328일) |
박근혜 대통령 탄핵 따른 황교안 권한대행 체제 |
|
직무 대행 |
유일호 | 2017년 05월 12일 - 2017년 05월 31일 (19일) |
문재인 정부 | 제3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(박근혜 정부에서 임명) |
45 | 이낙연 | 2017년 05월 31일 - 2020년 01월 14일 (2년 228일) |
제6공화국 최장 재임 국무총리 | |
46 | 정세균 | 2020년 01월 14일 - 2021년 04월 16일 (1년 94일) |
최초의 국회의장 출신 총리 | |
직무 대행 |
홍남기 | 2021년 04월 16일 - 2021년 05월 13일 (27일) |
제5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| |
47 | 김부겸 | 2021년 05월 14일 - 2022년 5월 11일 (361일) |
문재인 정부 초대 행정안전부 장관 | |
직무 대행 |
추경호 | 2022년 05월 12일 - 2022년 05월 20일 (9일) |
윤석열 정부 | 제6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|
48 | 한덕수 | 2022년 05월 21일 - 현재 | 김종필, 고건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다른 정부에서 총리직 역임. |
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목록
대한민국 1~3대 대통령 이승만 재임 : 1948년 ~ 1960년 대한민국 4대 대통령 윤보선 재임 : 1960년 ~ 1962년 대한민국 5~9대 대통령 박정희 재임 : 1963년 ~ 1979년 대한민국 10대 대통령 최규하 재임 : 1979년 ~
fav.isyn.co.kr
대한민국 5공화국 역사
대한민국 5공화국 기간 1981년 2월 25일 ~ 1987년 6월 28일 대한민국 5공화국 대통령 전두환 대통령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목록 대한민국 1~3대 대통령 이승만 재임 : 1948년 ~ 1960년 대한민국 4대 대통령
fav.isyn.co.kr
미국 역대 대통령 목록
대 대통령 생존연도 재임기간 소속정당 부통령 1 조지 워싱턴(George Washington) 1732~1799 1789~1797 없음. 존 애덤스(John Adams) 2 존 애덤스(John Adams) 1735~1826 1797~1801 연방당 토머스 제퍼슨(Thomas Jefferson) 3 토
fav.isyn.co.kr
24절기 설 한식 단오 추석 초복 중복 말복
24절기 봄 절기 입춘 : 봄의 시작 (2월 3, 4, 또는 5일) 우수 : 비가 내리고 싹이 틈 (2월 18 또는 19일) 경칩 : 개구리가 잠에서 깸 (3월 5일 또는 6일) 춘분 : 낮이 길어지기 시작 (3월 20일 또는 21일) 청명
fav.isyn.co.kr